둘레길 걷기/나무 이야기

한눈에 알아보는 우리 나무 _ 박승철

모꽃 _ 모든 순간이 꽃봉오리인 것을 2022. 7. 31. 14:04

박성철 저자 유튜브 채널 : 나무 도감 공부  https://www.youtube.com/channel/UCbwN-xWm7_1Nm6_t5zQ01zg

 

나무 도감 공부

(채널 소개) : 2021년 글항아리 출판사에서 출간한 '한눈에 알아보는 우리 나무' 라고하는 나무도감 책을 펼쳐서 저자가 직접 나무 공부를 하는 곳입니다. (저자 소개) : 저는 나무가 좋아서 23년 동

www.youtube.com

 

 

 

1. 신문 소개 기사

 

 

“나무 공부 안 막히게 사진으로 나무 차이 콕 보여줬죠”

 

< 한겨레신문  강성만 기자, 2021-06-16 >
 


“나무 사진을 찍을 때마다 ‘정말 행운이다’는 말을 수도 없이 합니다. 나무에 달린 꽃과 열매를 처음 볼 때 가슴이 두근거리고 너무 기뻐요. 나무 공부는 너무 재밌어요. 파고들수록 식물의 세계는 무궁무진합니다.”


나무 공부를 하려고 정년을 11년 남기고 1998년에 공무원 생활을 그만둔 박승철(70)씨는 최근 나무도감 <한눈에 알아보는 우리 나무>(전 2권, 글항아리)를 펴냈다. 내년 말까지 모두 8권으로 완간할 계획이다. 도감에는 한국에서 자라는 자생종과 원예종 나무 약 1500종을 찍은 사진 4만장이 실린다. 권당 5천장꼴이다. 저자가 은퇴 이후 찍은 나무 사진 150만장(약 2700종) 가운데 간추렸다.


“나무 공부하다 포기하는 사람이 많아요. 막히는 게 많은 데 그걸 풀어줄 책이 없었어요.” 지난 11일 서울 마포구 공덕동 한겨레신문사 사옥에서 만난 저자에게 도감 출간을 결심한 이유를 묻자 돌아온 말이다.



도감의 부제는 ‘차이점을 비교하는 신개념 나무도감’이다. 이 말처럼 도감은 비슷비슷한 형태의 나무들이 왜 이름이 다른지를 콕 집어 설명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이를 위한 도구는 각 수종마다 15매씩 실린 사진이다. 마주 보는 지면 오른쪽에는 꽃과 잎, 줄기 사진을 각각 3매씩 넣었고, 왼쪽에는 종의 가장 특징적인 모습과 열매를 보여주는 사진 6매를 실었다. 어느 종을 봐도 각기 다른 특성의 열매와 꽃이 지면의 같은 위치에 나오니 쉽게 차이를 알 수 있다. 사진을 키우고 가독성을 높이려고 글은 모두 사진 안에 넣었다.

 

자생종 위주인 기존 도감과 달리 이번 도감에는 외국에서 들어와 우리 땅에 뿌리를 내린 원예종도 나온다. “제 도감에서 원예종 비중이 3분의 1이죠. 수입 소도 국내에서 6개월 이상 키우면 한우 대접을 받잖아요. 수십 년 동안 우리 땅에 뿌리내린 원예종도 마땅히 우리 자원으로 인정해야죠.”


도감 1권을 보니 버드나뭇과 수종만 29개나 된다. 능수버들과 수양버들은 꽃싸개 끝에 털이 있는지로 구분된단다. 있으면 능수버들이고 없으면 수양버들이다. 개수양버들과 수양버들은 초봄 가지의 색깔로 갈린다. 황록색은 개수양버들이고 수양버들은 적록색이다. 

 

책에는 종의 이런 특성을 보여주는 근접 사진이 빠짐없이 등장한다. 꽃과 잎의 크기 등 종의 고유 특성을 보여주는 정보도 세밀하다. “식물도감의 교과서로 인정받는 이창복 교수 도감에 나오는 내용을 토대로 제가 현장에서 일일이 자로 재면서 확인했어요.” 이전 도감과 일치하지 않은 내용을 찾은 사례도 10~20건이나 된단다. “책에는 참죽나무 열매 양쪽에 날개가 있다고 나오는데 직접 보니 한쪽만 있더군요.”


박승철씨가 출간한 도감 왼쪽 면에는 나무의 특징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과 열매 사진 3장을 담았고, 오른쪽에는 꽃과 잎, 줄기 사진을 각각 3장씩 실었다. 이 사진은 유럽개암나무이다. 글항아리 제공

 

그가 퇴임 10년 뒤인 2008년부터 “나무들의 다른 점을 꼭 집어 보여주는 도감을 만들겠다”고 나선 이유는 기존 나무도감의 한계를 절감해서란다. 

 

처음엔 인터넷 동호회에 가입해 공부했고 헌책방도 뒤져 나무 책을 사 모았어요. 그런데 책에 없는 나무가 너무 많아요. 나무와 식물에 대한 우리나라 책을 조금만 파 보면 깊이가 얕다는 것을 금방 압니다. 새 나무 품종이 매일매일 생겨나고 수입돼 우리 땅에 뿌리내리는 데 이 나무들을 알고 싶어도 알 수가 없어요. 도감에는 없고 조경업자들이나 조금 아는 형편이죠.” 

 

나무의 세부 사진이 주인공인 도감을 만든 이유는 이렇단다. 

 

“사진으로 보여주면 이해가 쉬워요. ‘어린 가지에 개출모가 있다’고 책에 나와도 사진이 없으면 이해가 어려워요. 개출모는 털이 직각으로 났다는 말이죠. 개암나무와 유럽개암나무도 열매 싸개가 열매를 어느 정도 감싸는지에 따라 구분됩니다. 이런 특징을 아무도 보여주지 않으니 저라도 하자고 생각했죠. 나무 공부를 하는 사람들이 어렵다고 도중에 포기하지 않도록요.”

 


나무공부 하러 47살에 공직 퇴직
“답답한 공무원 생활에 나무가 위안”
2008년부터 도감 제작 준비
최근 2권 내고 내년까지 8권 완간
자생·원예 1500종 사진 4만장에
종마다 꽃 열매 잎 등 15장씩 실어

 


서울 서대문구 홍은동 주민인 그는 도감 제작을 위해 2008년 이후 해마다 4~5개월은 지방 산야를 헤집고 다녔단다. “지리산은 10번, 한라산도 5~6번 간 것 같아요.” 키 작은 참죽나무를 2010년에 한 수목원에서 발견하고 느낀 짜릿한 희열을 지금도 잊지 못한단다. “도감을 보니 참죽나무 꽃에는 헛수술 5개가 달렸다고 해요. 그래서 직접 확인하려고 2006년부터 해마다 6월이면 찾아 헤맸지만, 참죽나무 키가 20m나 돼 가까이 꽃을 찍을 수가 없었어요. 그러다 4년 만에 3m도 안 되는 아담한 참죽나무를 찾아 찍을 수 있었죠.” 

 

나무 촬영의 때를 맞추는 것도 쉽지 않은 일이었단다. “나무에 꽃이 피고 지는 게 보통 일주일입니다. 하지만 산사나무는 오전 10시면 분홍색으로 화려한 수술대 끝 꽃밥이 터져 까맣게 변하죠. 뽕나무도 먼저 꽃이 피고 달리는 오디 열매가 처음은 초록색이지만 시간을 두고 하얀, 노랑, 빨강, 검은색으로 변해요. 촬영 시간을 잘 맞춰 이 모든 색의 열매를 한 컷 프레임 속에 담을 때 세상 무엇과도 바꿀 수 없을 정도로 기분이 좋아요.”

 

박승철씨가 4년 동안 찾아 헤매다 찍은 참죽나무 꽃 사진이 위에 보인다. 박승철씨 제공

 

 

박승철씨가 사진을 찍고 무척 기뻤다는 뽕나무 오디 열매다. “오디 열매가 처음은 초록색이지만 시간을 두고 하얀, 노랑, 빨강, 검은색으로 변해요. 촬영 시간을 잘 맞춰 이 모든 색의 열매를 한 컷 프레임 속에 담을 때 세상 무엇과도 바꿀 수 없을 정도로 기분이 좋아요.” 박승철씨 제공

 

 


그를 나무와 밀착시킨 ‘접착제’는 23년 공직 생활을 하며 느낀 답답함이었단다. 집안 형편이 어려워 중앙대 법대를 중퇴한 그는 9급으로 서울시 공무원 생활을 시작했다. “공무원은 위에서 내려온 명령이나 지시를 따라야 하고 법과 규정을 벗어날 수 없잖아요. 일하면서 많이 답답했어요. 그럴 때 나무를 보면 마음이 풀렸죠. 언제나 좋았어요. 마침 김대중 정부 들어 명퇴할 수 있는 재직 기간이 줄어들어 만 47살에 그만뒀어요. 아내와 하나뿐인 딸도 저의 나무 공부 뜻을 흔쾌히 응원해주었죠. 저한테는 행운입니다.”

 

그는 “나무 이름을 알면 나무가 친구가 된다”고 했다. “이름을 아는 나무를 보면, 지금 열매가 있겠다는 생각도 들고 꽃이 필 때의 아름다운 색상도 떠올라요. 멀리서 봐도 친구처럼 반갑죠.”

 

인터뷰를 마치며 그는 자신이 발로 기록한 ‘한국 나무 보고서’가 숲 해설가나 공원관리인, 원예학과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란다는 희망을 내비쳤다. “국내 공원의 나무 명칭을 보면 틀린 게 너무 많아요. 어떤 공원은 털음나무를 음나무라고 적었더군요. 공원 직원이나 숲 해설가들이 제 책을 좋아할 것 같아요.”

 

 

 

 

 

 

2. 책 소개

 

 

한눈에 알아보는 우리 나무 1, 2권 - 차이점을 비교하는 신개념 나무도감

박승철 지음 | 글항아리 | 2021년 05월 03일 출간

 

 

한눈에 알아보는 우리 나무는 나무의 종마다 그 특징을 보여주는 15장의 사진을 제시하고 사진 위에 설명을 배치함으로써, 보는 즉시 머리에 정보가 입력되게 했다는 게 가장 큰 특징이다. 그리고 선명한 확대 사진으로 잎과 씨앗의 모양, 털의 길이와 방향, 색깔의 짙고 연한 정도 등 마이크로한 부분의 차이까지 세밀하게 알 수 있게 했다는 점 또한 다른 도감들과 차별화되는 장점이다.

 

또한 이 책은 자생종뿐만 아니라 기존 도감에서 외면받아온 외래종과 원예종도 공원이나 수목원, 아파트 화단에서 흔히 볼 수 있을 경우 포함시켰다. , 내 주변의 나무를 제대로 알고 싶은 인간 본연의 욕구에 충실했으며, 나무를 공부하려는 이들이 공통적으로 궁금해하는 부분들을 해결해주고자 심혈을 기울였다!

 

 

 

(1) 목차

 

머리말

일러두기

 

소철과

001 소철 Cycas revoluta

 

은행나무과

002 은행나무 Ginkgo biloba

 

소나무과

003 전나무 Abies holophylla

004 일본전나무 Abies firma

005 구상나무 Abies koreana

006 검은구상 Abies koreana f. nigrocarpa

007 붉은구상 Abies koreana f. rubrocarpa

008 푸른구상 Abies koreana f. chlorocarpa

009 분비나무 Abies nephrolepis

010 개잎갈나무 Cedrus deodara

011 일본잎갈나무 Larix kaempferi

012 독일가문비나무 Picea abies

013 가문비나무 Picea jezoensis

014 종비나무 Picea koraiensis

015 소나무 Pinus densiflora f. aggregata

017 여복송 Pinus densiflora f. congesta

018 다행송 Pinus densiflora ‘umbraculifera’

019 반송 Pinus densiflora f. multicaulis

020 처진소나무 Pinus densiflora ‘pendula’

021 금강소나무 Pinus densiflora f. erecta

022 백송 Pinus bungeana

023 리기다소나무 Pinus rigida

024 테다소나무 Pinus taeda

025 구주소나무 Pinus sylvestris

026 방크스소나무 Pinus banksiana

027 풍겐스소나무 Pinus pungens

028 곰솔 Pinus thunbergii

029 만주곰솔 Pinus tabuliformis var. mukdensis

030 잣나무 Pinus koraiensis

031 섬잣나무 Pinus parviflora

032 스트로브잣나무 Pinus strobus

033 솔송나무 Tsuga sieboldii

 

낙우송과

034 삼나무 Cryptomeria japonica

035 금송 Sciadopitys verticillata

036 메타세쿼이아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037 낙우송 Taxodium distichum

 

측백나무과

038 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039 가이즈카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Kaizuka’

040 연필향나무 Juniperus virginiana

041 눈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042 섬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var. procumbens

043 옥향 Juniperus chinensis ‘Globosa’

044 노간주나무 Juniperus rigida

045 편백 Chamaecyparis obtusa

046 화백 Chamaecyparis pisifera

047 실화백 Chamaecyparis pisifera ‘Filifera’

048 황금실화백 Chamaecyparis pisifera ‘Filifera Aurea’

049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050 천지백 Thuja orientalis f. sieboldii

051 서양측백나무 Thuja occidentalis

052 황금측백나무 Platycladus orientalis ‘Aurea Nana’

053 눈측백 Thuja koraiensis

 

나한송과

054 나한송 Podocarpus macrophyllus

 

개비자나무과

055 개비자나무 Cephalotaxus koreana

056 눈개비자나무 Cephalotaxus harringtonia var. nana

 

주목과

057 비자나무 Torreya nucifera

058 주목 Taxus cuspidata

 

소귀나무과

059 소귀나무 Myrica rubra

 

가래나무과

060 가래나무 Juglans mandshurica

061 호두나무 Juglans regia

062 흑호두나무 Juglans nigra

063 굴피나무 Platycarya strobilacea

064 중국굴피나무 Pterocarya stenoptera

 

버드나무과

065 은백양 Populus alba

066 은사시나무 Populus tomentiglandulosa

067 사시나무 Populus davidiana

068 황철나무 Populus maximowiczii

069 물황철나무 Populus koreana

070 당버들 Populus simonii

071 미루나무 Populus deltoides

072 양버들 Populus nigra var. italica

073 이태리포플러 Populus x canadensis

074 개수양버들 Salix dependens

075 수양버들 Salix babylonica

076 능수버들 Salix pseudolasiogyne

077 용버들 Salix matsudana f. tortuosa

078 왕버들 Salix chaenomeloides

079 털왕버들 Salix chaenomeloides var. pilosa

080 쪽버들 Salix maximowiczii

081 버드나무 Salix koreensis

082 강계버들 Salix kangensis

083 선버들 Salix subfragilis

084 좀분버들 Salix rorida var. roridaeformis

085 떡버들 Salix hallaisanensis

086 좀호랑버들 Salix caprea f. elongata

087 호랑버들 Salix caprea

088 참오글잎버들 Salix siuzevii

089 당키버들 Salix purpurea var. smithiana

090 붉은키버들 Salix koriyanagi f. rubra

091 키버들 Salix koriyanagi

092 갯버들 Salix gracilistyla

093 눈갯버들 Salix graciliglans

 

자작나무과

094 물갬나무 Alnus hirsuta var. sibirica

095 물오리나무 Alnus sibirica

096 오리나무 Alnus japonica

097 두메오리나무 Alnus maximowiczii

098 거제수나무 Betula costata

099 사스래나무 Betula ermanii

100 박달나무 Betula schmidtii

101 자작나무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102 물박달나무 Betula davurica

103 까치박달 Carpinus cordata

104 서어나무 Carpinus laxiflora

105 개서어나무 Carpinus tschonoskii

106 당개서어나무 Carpinus tschonoskii var. brevicalycina

107 소사나무 Carpinus turczaninowii

108 개암나무 Corylus heterophylla

109 유럽개암나무 Corylus avellana

110 물개암나무 Corylus sieboldiana var. mandshurica

111 참개암나무 Corylus sieboldiana

 

참나무과

112 밤나무 Castanea crenata

113 약밤나무 Castanea bungeana

114 너도밤나무 Fagus engleriana

115 굴참나무 Quercus variabilis

116 상수리나무 Quercus acutissima

117 정능참나무 Quercus acutissima x variabilis

118 떡갈나무 Quercus dentata

119 떡속소리나무 Quercus fabri

120 떡갈졸참나무 Quercus x mccormickoserrata

121 떡신졸참나무 Quercus x dentatoserratoides

122 떡신갈나무 Quercus x dentatomongolica

123 물참나무 Quercus mongolica var. crispula

124 신갈나무 Quercus mongolica

125 봉동참나무 Quercus x pontungensis

126 갈참나무 Quercus aliena

127 청갈참나무 Quercus aliena var. pellucida

128 졸갈참나무 Quercus aliena var. acuteserrata

129 청졸갈참나무 Quercus aliena var. acuteserrata f. calvescens

130 졸참나무 Quercus serrata

131 갈졸참나무 Quercus x urticifolia

132 신갈졸참나무 Quercus x alienoserratoides

133 종가시나무 Quercus glauca

134 졸가시나무 Quercus phillyraeoides

135 대왕참나무 Quercus palustris

136 루브라참나무 Quercus rubra

 

느릅나무과

137 풍게나무 Celtis jessoensis

138 좀풍게나무 Celtis bungeana

139 검팽나무 Celtis choseniana

140 팽나무 Celtis sinensis

141 시무나무 Hemiptelea davidii

142 수양느릅나무 Ulmus glabra ‘Camperdownii’

143 참느릅나무 Ulmus parvifolia

144 느릅나무 Ulmus davidiana var. japonica

145 미국느릅나무 Ulmus americana

146 난티나무 Ulmus laciniata

147 비술나무 Ulmus pumila

148 느티나무 Zelkova serrata

 

뽕나무과

149 닥나무 Broussonetia kazinoki

150 애기닥나무 Broussonetia kazinoki var. humilis

151 꾸지나무 Broussonetia papyrifera

152 꾸지뽕나무 Cudrania tricuspidata

153 뽕나무 Morus alba

154 처진뽕나무 Morus alba f. pendula

155 산뽕나무 Morus bombycis

156 가새뽕나무 Morus bombycis f. dissecta

157 돌뽕나무 Morus cathayana

158 무화과나무 Ficus carica

159 모람 Ficus oxyphylla

 

쐐기풀과

160 좀깨잎나무 Boehmeria spicata

 

목련과

161 백합나무 Liriodendron tulipifera

162 목련 Magnolia kobus

163 백목련 Magnolia denudata

164 자주목련 Magnolia denudata var. purpurascens

165 자목련 Magnolia liliiflora

166 일본목련 Magnolia obovata

167 태산목 Magnolia grandiflora

168 함박꽃나무 Magnolia sieboldii

169 겹함박꽃나무 Magnolia sieboldii for. semiplena

 

오미자과

170 오미자 Schisandra chinensis

171 남오미자 Kadsura japonica

 

붓순나무과

172 붓순나무 Illicium anisatum

 

받침꽃과

173 자주받침꽃 Calycanthus fertilis

174 중국받침꽃 Calycanthus chinensis

175 산납매 Chimonanthus nitens

176 납매 Chimonanthus praecox

 

녹나무과

177 생달나무 Cinnamomum yabunikkei

178 후박나무 Machilus thunbergii

179 까마귀쪽나무 Litsea japonica

180 비목나무 Lindera erythrocarpa

181 감태나무 Lindera glauca

182 뇌성목 Lindera glauca var. salicifolia

183 생강나무 Lindera obtusiloba

184 고로쇠생강나무 Lindera obtusiloba f. quinquelobum

185 둥근잎생강나무 Lindera obtusiloba f. ovata

186 털조장나무 Lindera sericea

 

계수나무과

187 계수나무 Cercidiphyllum japonicum

 

미나리아재비과

188 종덩굴 Clematis fusca var. violacea

189 병조희풀 Clematis heracleifolia

190 자주조희풀 Clematis heracleifolia var. davidiana

191 으아리 Clematis terniflora var. mandshurica

192 참으아리 Clematis terniflora

193 외대으아리 Clematis brachyura

194 사위질빵 Clematis apiifolia

195 큰꽃으아리 Clematis patens

 

매자나무과

196 매발톱나무 Berberis amurensis

197 섬매발톱나무 Berberis amurensis var. quelpaertensis

198 왕매발톱나무 Berberis amurensis var. latifolia

199 매자나무 Berberis koreana

200 당매자나무 Berberis poiretii

201 일본매자나무 Berberis thunbergii

202 자엽일본매자 Berberis thunbergii f. atropurpurea

203 대만뿔남천 Mahonia japonica

204 남천 Nandina domestica

 

으름덩굴과

205 여덟잎으름 Akebia quinata f. polyphylla

206 으름덩굴 Akebia quinata

207 멀꿀 Stauntonia hexaphylla

 

새모래덩굴과

208 댕댕이덩굴 Cocculus trilobus

209 새모래덩굴 Menispermum dauricum

210 털새모래덩굴 Menispermum dauricum f. pilosum

211 함박이 Stephania japonica

 

후추과

212 후추등 Piper kadsura

 

쥐방울덩굴과

213 등칡 Aristolochia manshuriensis

 

홀아비꽃대과

214 죽절초 Sarcandra glabra

 

다래나무과

215 다래 Actinidia arguta

216 털다래 Actinidia arguta var. platyphylla

217 개다래 Actinidia polygama

218 쥐다래 Actinidia kolomikta

 

차나무과

219 동백나무 Camellia japonica

220 차나무 Camellia sinensis

221 비쭈기나무 Cleyera japonica

222 사스레피 Eurya japonica

223 우묵사스레피 Eurya emarginata

224 노각나무 Stewartia Koreana

225 후피향나무 Ternstroemia gymnanthera

 

물레나물과

226 갈퀴망종화 Hypericum galioides

227 망종화 Hypericum patulum

 

버즘나무과

228 단풍버즘나무 Platanus x hispanica

229 양버즘나무 Platanus occidentalis

230 버즘나무 Platanus orientalis

 

조록나무과

231 조록나무 Distylium racemosum

232 도사물나무 Corylopsis spicata

233 드문희어리 Corylopsis pauciflora

234 히어리 Corylopsis coreana

235 풍년화 Hamamelis japonica

236 중국풍년화 Hamamelis mollis

 

두충과

237 두충 Eucommia ulmoides

 

범의귀과

238 물참대 Deutzia glabrata

239 말발도리 Deutzia parviflora

240 털말발도리 Deutzia parviflora var. amurensis

241 둥근잎말발도리 Deutzia scabra

242 꼬리말발도리 Deutzia paniculata

243 애기말발도리 Deutzia gracilis

244 매화말발도리 Deutzia uniflora

245 빈도리 Deutzia crenata

246 만첩빈도리 Deutzia crenata f. plena

247 수국 Hydrangea macrophylla

248 꽃산수국 Hydrangea serrata f. buergeri

249 산수국 Hydrangea serrata for. Acuminata

250 탐라산수국 Hydrangea serrata for. Fertilis

251 나무수국 Hydrangea paniculata

252 바위수국 Schizophragma hydrangeoides

253 고광나무 Philadelphus schrenkii

254 왕고광나무 Philadelphus koreanus var. robustus

255 털고광나무 Philadelphus schrenckii var. jackii

256 서울고광나무 Philadelphus seoulensis

257 섬고광나무 Philadelphus scaber

258 애기고광나무 Philadelphus pekinensis

259 개당주나무 Ribes fasciculatum

260 까마귀밥나무 Ribes fasciculatum var. chinense

261 넓은잎까치밥나무 Ribes latifolium

262 까치밥나무 Ribes mandshuricum

 

돈나무과

263 돈나무 Pittosporum tobira146

 

장미과

264 채진목 Amelanchier asiatica

265 명자나무 Chaenomeles speciosa

266 풀명자 Chaenomeles japonica

267 모과나무 Chaenomeles sinensis

268 섬개야광나무 Cotoneaster wilsonii

269 둥근잎개야광나무 Cotoneaster integerrima

270 가새잎산사 Crataegus pinnatifida var. partita

271 넓은잎산사 Crataegus pinnatifida var. major

272 아광나무 Crataegus maximowiczii

273 산사나무 Crataegus pinnatifida

274 이노리나무 Crataegus komarovii

275 가침박달 Exochorda serratifolia

276 병아리꽃나무 Rhodotypos scandens

277 황매화 Kerria japonica

278 죽단화 Kerria japonica f. pleniflora

279 야광나무 Malus baccata

280 민야광나무 Malus baccata f. jackii

281 털야광나무 Malus baccata var. mandshurica

282 서부해당 Malus halliana

283 아그배나무 Malus sieboldii

284 개아그배나무 Malus micromalus

285 꽃사과나무 Malus floribunda

286 능금나무 Malus asiatica

287 사과나무 Malus pumila

288 물싸리 Potentilla fruticosa var. rigida

289 윤노리나무 Pourthiaea villosa

290 개벚지나무 Prunus maackii

291 북개벚지나무 Prunus meyeri

292 귀룽나무 Prunus padus

293 서울귀룽나무 Prunus padus var. seoulensis

294 흰귀룽나무 Prunus padus f. glauca

295 세로티나벚나무 Prunus serotine

296 왕벚나무 Prunus yedoensis

297 올벚나무 Prunus pendula f. ascendens

298 가는잎벚나무 Prunus serrulata var. densiflora

299 산벚나무 Prunus sargentii

300 섬벚나무 Prunus takesimensis

301 벚나무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302 사옥 Prunus serrulata var. quelpaertensis

303 잔털벚나무 Prunus serrulata var. pubescens

304 털벚나무 Prunus serrulata var. tomentella

305 개벚나무 Prunus verecunda

306 꽃벚나무 Prunus serrulata var. sontagiae

307 털개벚나무 Prunus leveilleana var. pilosa

308 신양벚나무 Prunus cerasus

309 양벚나무 Prunus avium

310 열녀목 Prunus salicina var. columnaris

311 자두나무 Prunus salicina

312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var. ansu

313 개살구나무 Prunus mandshurica

314 털개살구 Prunus mandshurica f. barbinervis

315 흰만첩매실 Prunus mume f. alboplena

316 흰매실나무 Prunus mume for. alba

317 매실나무 Prunus mume

318 홍만첩매실 Prunus mume f. alphandi

319 홍매화 Prunus mume ‘Beni~chidori’

320 만첩백도 Prunus persica f. alboplena

321 만첩홍도 Prunus persica f. rubroplena

322 복사나무 Prunus persica

323 산복사나무 Prunus davidiana

324 이스라지 Prunus japonica var. nakaii

325 산이스라지 Prunus ishidoyana

326 털이스라지 Prunus japonica f. rufinervis

327 산옥매 Prunus glandulosa

328 옥매 Prunus glandulosa f. albiplena

329 홍매 Prunus glandulosa ‘Sinensis’

330 앵도나무 Prunus tomentosa

331 풀또기 Prunus triloba var. truncata

332 만첩풀또기 Prunus triloba var. Multiplex

333 좁은잎피라칸타 Pyracantha angustifolia

334 넓은잎피라칸타 Pyracantha fortuneana

335 돌배나무 Pyrus pyrifolia

336 남해배나무 Pyrus ussuriensis var. nankaiensis

337 문배 Pyrus ussuriensis var. seoulensis

338 산돌배 Pyrus ussuriensis

339 취앙네 Pyrus ussuriensis var. acidula

340 털산돌배 Pyrus ussuriensis var. pubescens

341 참배나무 Pyrus ussuriensis var. macrostipes

342 합실리 Pyrus ussuriensis var. viridis

343 배나무 Pyrus pyrifolia var. culta

344 개위봉배나무 Pyrus pseudouipongensis

345 위봉배 Pyrus uipongensis

346 콩배나무 Pyrus calleryana var. fauriei

347 비파나무 Eriobotrya japonica

348 홍가시나무 Photinia glabra

349 다정큼나무 Rhaphiolepis indica var. umbellata

350 둥근잎다정큼 Rhaphiolepis indica var. integerrima

351 긴잎다정큼 Rhaphiolepis indica var. liukiuensis

352 왕용가시 Rosa maximowicziana var. coreana

353 털찔레 Rosa multiflora var. adenochaeta

354 찔레꽃 Rosa multiflora

355 긴생열귀 Rosa davurica var. ellipsoidea

356 인가목 Rosa acicularis

357 노랑해당화 Rosa Xanthina

358 해당화 Rosa rugosa

359 겹해당화 Rosa rugosa f. plena

360 흰해당화 Rosa rugosa ‘Alba’

361 겨울딸기 Rubus buergeri

362 수리딸기 Rubus corchorifolius

363 산딸기 Rubus crataegifolius

364 긴잎산딸기 Rubus crataegifolius var. subcuneatus

365 섬나무딸기 Rubus takesimensis

366 단풍딸기 Rubus palmatus

367 곰딸기 Rubus phoenicolasius

368 멍석딸기 Rubus parvifolius

369 오엽멍석딸기 Rubus parvifolius f. subpinnatus

370 복분자딸기 Rubus coreanus

371 줄딸기 Rubus pungens

372 장딸기 Rubus hirsutus

373 서양산딸기 Rubus fruticosus

374 쉬땅나무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375 좀쉬땅나무 Sorbaria kirilowii

376 청쉬땅나무 Sorbaria sorbifolia f. incerta

377 팥배나무 Sorbus alnifolia

378 긴팥배나무 Sorbus alnifolia var. lasiocarpa

379 벌배나무 Sorbus alnifolia var. lobulata

380 마가목 Sorbus commixta

381 녹마가목 Sorbus commixta var. rufo-ferruginea

382 넓은잎당마가목 Sorbus amurensis f. latifoliolata

383 당마가목 Sorbus amurensis

384 흰털당마가목 Sorbus amurensis var. lanata

385 산마가목 Sorbus sambucifolia var. pseudogracilis

386 조팝나무 Spiraea prunifolia f. simpliciflora

387 가는잎조팝나무 Spiraea thunbergii

388 긴잎조팝나무 Spiraea media

389 공조팝나무 Spiraea cantoniensis

390 반호우트조팝나무 Spiraea x vanhouttei

391 인가목조팝나무 Spiraea chamaedryfolia

392 털인가목조팝나무 Spiraea chamaedryfolia var. pilosa

393 산조팝나무 Spiraea blumei

394 아구장나무 Spiraea pubescens

395 당조팝나무 Spiraea chinensis

396 떡조팝나무 Spiraea chartacea

397 갈기조팝나무 Spiraea trichocarpa

398 덤불조팝나무 Spiraea miyabei

399 둥근잎조팝나무 Spiraea betulifolia

400 참조팝나무 Spiraea fritschiana

401 일본조팝나무 Spiraea japonica

402 꼬리조팝나무 Spiraea salicifolia

403 국수나무 Stephanandra incisa

404 나비국수나무 Stephanandra incisa var. quadrifissa

405 나도국수나무 Neillia uekii

406 섬국수나무 Physocarpus insularis

407 산국수나무 Physocarpus amurensis

408 중산국수나무 Physocarpus intermedius

409 양국수나무 Physocarpus opulifolius

 

1 용어해설

부록2 1. 꽃차례 종류

2. 꽃차례 도해

찾아보기(이명·속명 포함)

찾아보기(학명)

 

 

 

(2) 출판사 서평

 

제대로 된 나무공부의 시작!

 

코로나 대유행 이후 ESG라는 용어가 우리 곁으로 찾아왔다. 환경, 소셜, 거버넌스의 약자로 이 세 가지가 향후 우리의 삶을 결정짓는다는 말이다. 그중 환경은 전염병과 지구온난화, 미세먼지 등으로 가장 초미의 관심 영역으로 떠오르고 있다. 그동안 환경은 지겹도록 얘기해온 것 같지만 인류 존립의 기로에 서서 심각하게 환경 문제를 모든 이들이 절실하게 생각하기 시작한 것은 지금이 처음이다.

 

그 환경 문제의 선두에 나무가 서 있다. 환경이란 곧 자연 생태계로 지구가 원래 갖고 있는 건강한 자연 생태계의 원초적 리듬을 되찾는 것이 인류의 큰 목표가 되었다. 그 자연 생태계의 핵심이 바로 숲이고 나무다. 우리 사회에서 나무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높아져왔고 이제는 나무에 대해 본격적으로 공부하려는 사람도 점점 많아지고 있다. 갈수록 사람들이 나무와 숲이 주는 근원적인 치유의 힘에 이끌리기 때문이다.

 

 

 

기존의 나무도감과 다른 점!

 

나무에 대한 책은 다양하게 나오고 있지만, 가장 기본이라고 할 도감 류의 출판은 그리 활발하지 않은 게 우리 출판의 현실이다. 게다가 기존의 나무도감들은 사진의 크기가 작고 양도 적어 나무의 특징을 전체적으로 보여주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고, 사진과 글이 분리되어 있어 사진을 본 다음에 해당 내용을 한참동안 찾아야 하는 등 불편함을 야기해왔다. 또한 용어가 전문적이고 어려울 뿐만 아니라 설명도 구체적이지 않았다. 따라서 실제 자연 현장에서 나무를 만나고 공부하는 이들의 궁금증을 해결해주는 데는 한계가 많았다. 새롭게 들어와 정착한 외래종, 원예종은 거의 다루지 않는다는 현실이 그렇고, 잘못된 정보의 업데이트도 잘 되지 않았다. 오랜 시간 이런 답답함을 느끼던 저자가 이 문제를 자신의 손으로 직접 해결한 게 바로 이번에 출간된 한눈에 알아보는 우리 나무(8)이다.

 

1998년부터 2020년까지 23년 동안 자연 현장을 다니며 나무의 종별로 그 특징을 보여주는 고화질 사진을 150만 장 이상 찍어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고 편집에만 5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나무는 계절마다 모습이 다르고, 날마다 지거나 피기 때문에 한 나무의 모든 특징을 제대로 파악하고 사진에까지 담아낸다는 것은 보통 어려운 일이 아니다.

 

이렇게 찍은 사진 중에서 4만 장을 골라 1500여 종의 나무(주로 나무이지만 다육식물도 포함)를 전체 8권으로 묶어내기에 이르렀다. 이번에 먼저 출간된 1권과 2권에는 총 409종의 나무가 담겨 있다.

 

 

사진·편집·설명의 삼차원 혁신!

 

그런 점에서 이 책은 나무도감의 기존 틀을 깨는 일대 혁신이라고 할 만하다. 도시에서 태어나고 자란 인구가 대다수인 요즈음, 그런 세대의 눈으로 볼 때도 이해할 수 있는 나무도감의 기본 형태는 이러해야 한다는 점을 보여주기도 한다. 기존 도감과 다른 점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눠서 살펴볼 수 있다.

 

첫째는 사진이다. 이 책에서는 나무 종별로 15장이라는 많은 양의 사진을 할애했다. 독자들은 빠진 부분 없이 해당 나무의 거의 모든 것을 사진으로 직접 만나볼 수 있다. 게다가 잎이나 줄기, 열매, 꽃 등의 크기를 기존 도감보다 두 배 정도 키웠다. 나무를 1미터 앞에서 보는 것과 0.5미터 앞에서 보는 것은 그 정보의 질이나 정확성에 있어서 큰 차이를 가져온다. 더 나아가 꿀샘이나 씨방처럼 작은 부위는 실제 크기보다 10배 이상 확대한 고화질 사진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 부분은 기존에는 찾아볼 수 없었던 신세계라고 할 수 있다. 저자가 비싼 렌즈로 직접 무릎을 꿇고 촬영하지 않는 이상 어디에서도 구할 수 없는 사진이기 때문이다. 독자들은 이번 책에서 나무의 사진을 보면서 눈이 시원해짐을 느낄 것이다.

 

둘째는 편집이다. 기존의 도감들은 사진은 책 상단에 따로 모아놓고, 설명은 책 하단에 따로 모아놓는 편집 방식으로 되어 있다. 이것이 불편한 이유는 사진과 글이 한눈에 들어오지 않고, 끊임없이 찾아가며 매칭시켜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한눈에 알아보는 우리 나무사진과 글을 하나의 몸으로 통합시켰다. 예를 들어 소나무라면 소나무의 전체 모양과 각 부위의 모습을 찍은 사진 15장을 두 페이지에 걸쳐서 빈틈없이 채웠다.(배열 원칙은 책 앞의 일러두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각 부위의 설명은 해당 사진 위에 캡션으로 얹어서 한눈에 직관적으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했다. 책이라는 정해진 공간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한 것이다. 그리고 종에 상관없이 열매면 열매, 잎이면 잎이 매번 똑같은 위치에서 반복되게 했다. , 독자는 저자가 정해놓은 순서대로 나무의 각 부위를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반복해 학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나무 공부도 공부인 만큼 반복만큼 중요한 것은 없다는 생각이 반영된 편집이다.

 

셋째는 설명이다. 저자는 어려운 한자를 기반으로 한 기존의 식물용어들을 최대한 우리말로 풀어쓴 용어로 바꾸었다. 가령 유이화서(柔夷花序)꼬리꽃차례’, 실편(實片)솔방울조각등의 우리말 표현으로 바꿔줌으로써 독자가 읽다가 막히는 일이 없게 했으며, 기존의 한자용어는 옆에 병기하거나 뒤쪽의 용어사전에 실어줌으로써 독자가 과거와 현재의 용어 변화를 알 수 있도록 했다. 또한 화살표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씨앗의 경우 어디가 날개이고, 어디가 씨앗인지, 잎의 숨구멍줄은 무엇인지, 잎의 갈라진 부분, 겨울눈의 위치 등을 모두 화살표로 명료하게 짚어줌으로써 독자가 헷갈리지 않게 최대한 배려했다.

 

 

 

각 종별 15장 사진의 배열 원칙

 

00 종의 특징을 보여주는 대표 사진.

01 꽃차례(花序) 전체 모습.

02 홑성꽃(單性花)일 때 암꽃의 모습.

03 홑성꽃일 때 수꽃의 모습.

04 암술이나 수술, 꽃받침 등 종의 특징을 나타내는 꽃의 특정 부분을 확대.

05 잎 표면()과 잎 뒷면.

06 잎자루(葉柄)나 턱잎(托葉)의 모습.

07 겹잎(複葉)을 이루는 작은 잎(小葉) 하나 또는 홑잎(單葉) 하나.

08 잎차례(葉序), 작은 잎이 모두 모여 이루는 전체 겹잎의 모습.

09 열매가 달리는 열매차례(果序)의 전체 모습.

10 열매 하나하나의 모습.

11 씨앗(種子).

12 잎의 톱니, 잎맥(葉脈), 줄기의 가시, 꽃받침, 겨울눈(冬芽) 등 그 나무만의 특징적인 모습.

13 햇가지(新年枝) 또는 어린 가지에 난 털이나 겨울눈.

14 나무껍질(樹皮)과 함께 나무의 높이 등 형태상의 특징.

 

 

 

수록종과 분류 체계

 

이 책은 우리나라 산과 들에서 자생하는 나무는 물론 해외에서 들여왔지만 우리 땅에 뿌리를 내린 원예종, 선인장과 다육식물까지 총 1500여 종을 수록해 국내 도감 중 가장 많은 수종을 다루고 있다.

 

특히 원예종 중에서도 야생에서 얼어 죽지 않고 월동하는 나무들을 포함해 공원이나 수목원, 온실 또는 실내에서 흔히 만날 수 있는 나무들까지 모두 수록하려고 노력했다. 그 가운데는 기존의 나무도감에서 찾아볼 수 없던, 이 책에서 처음으로 소개되는 종도 더러 있다.

 

나무는 우선 크게 일반 수종과 다육으로 나눈 다음, 다시 과별로 묶어 배열했다. 같은 과에서도 모양이나 색깔이 비슷해 헷갈리기 쉬운 종끼리 모아 가급적 비교·검토하기 쉽도록 배치했다.

 

각 나무는 과명을 먼저 적은 뒤 찾아보기 쉽도록 번호를 붙이고, 국명과 이명(괄호 표시), 학명을 묶어서 적었다. 학명과 국명은 국립수목원의 국가표준식물목록을 따랐으며, 여기에 없는 이름은 북미식물군, 중국식물지FOC, 일본식물지 등을 두루 참고했다. 선인장과 다육식물은 국가표준식물목록을 기본으로 ‘RSChoi 선인장정원을 참조해 정리했다.

 

- 국가표준식물목록 http://www.nature.go.kr/kpni/index.do

- 북미식물군Flora of North America http://www.efloras.org

 

 

 

용어의 사용

 

글은 누구나 어렵지 않게 이해할 수 있게끔 가능하면 쉬운 우리말로 풀어썼다. 전문용어를 쓸 때는 이해를 돕기 위해 사진에 그에 해당하는 부분을 함께 표시했다. 학자마다 다른 용어를 사용하고 있을 때는 일반적으로 두루 쓰이는 용어를 선택했다. 또 한자어 등 다른 이름으로도 자주 쓰이는 말은 제1권 부록에 용어사전을 따로 실어 찾아볼 수 있도록 했다.(용어사전의 양이 많아 제2권부터는 싣지 못했다.) 용어사전은 국립수목원의 식물용어사전과 농촌진흥청의 농업용어사전’, 우리나라 자원식물(강병화, 한국학술정보, 2012) 등을 참고했다. 용어사전을 먼저 익힌 뒤 도감을 읽어나가면 시간을 좀 더 절약할 수 있을 것이다.

 

- 국립수목원 식물용어사전 http://www.nature.go.kr/

- 농촌진흥청 농업용어사전 http://lib.rda.go.kr/newlib/dictN/dictSearch.a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