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의 나무에게

 

                        카프카

 


그대여, 나는 안다
그대가 묵묵히 한곳에 머물러 있어도
쉬지 않고 먼 길을 걸어왔음을
고단한 계절을 건너 와서
산들거리는 바람에 이마의 땀을 씻고
이제 발등 아래서 쉴 수 있는
그대도 어엿한 그늘을 갖게 되었다
산도 제 모습을 갖추고
둥지 틀고 나뭇가지를 나는 새들이며
습윤한 골짜기에서 들려오는
맑고 깨끗한 물소리는
종일토록 등줄기를 타고 오르며
저녁이 와도 별빛 머물다가
이파리마다 이슬을 내려놓으니
한창으로 푸름을 지켜 낸 청명은
아침이 오면 햇살 기다려
깃을 펴고 마중 길에 든다
나무여, 푸른 6월의 나무여 

'詩 _ 일반 > 유럽'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간 꽃병  (0) 2023.09.19
가을날  (0) 2022.09.23
너는 울었다  (0) 2022.09.05
인빅투스(Invictus)  (0) 2022.06.28
하나님 아버지  (0) 2022.04.05

금간 꽃병

 

          쉴리 프뤼돔  (프랑스, 1839-1907)


이 마편초 꽃이 시든 꽃병은
부채가 닿아 금이 간 것.
살짝 스쳤을 뿐이겠지
아무 소리도 나지 않았으니
하지만 가벼운 상처는

하루하루 수정을 좀먹어 들어
보이지는 않으나 어김없는 발걸음으로
차근차근 그 둘레를 돌아갔다.

맑은 물은 방울방울 새어 나오고
꽃들의 향기는 말라 들었다.

그럼에도 아무도 모르고 있다.
손대지 말라, 금이 갔으니.


곱다고 쓰다듬는 손도 때론 이런 것
남의 마음을 스쳐 상처를 준다.
그러면 마음은 절로 금이 가
사랑의 꽃은 말라죽는다.


사람들의 눈에는 여전히 온전하나
마음은 작고도 깊은 상처에

혼자 흐느껴 운다.
금이 갔으니 손대지 말라.

 

 

 

 

 

* **

프랑스의 시인이자 작가, 철학자.
 
쉴리 프뤼돔은 상인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기술자가 되기 위해 과학 기술 전문 학교에 입학했지만 눈병을 앓는 바람에 중퇴한다. 그 후 공장 직원으로 근무하였으며 1860년 법대에 입학했다.

그리고 그는 1865년 자신의 첫 시집 《구절과 시 (Stances et Poèmes)》를 발표했고 1881년에는 아카데미 프랑세즈 회원으로 선출된다. 그는 1901년 최초의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결정되었으며 1907년 9월 6일 샤트네말라브리에서 사망했다. 그의 묘는 파리 페르 라셰즈 묘지에 안치되어 있다.

'詩 _ 일반 > 유럽' 카테고리의 다른 글

6월의 나무에게  (0) 2024.05.30
가을날  (0) 2022.09.23
너는 울었다  (0) 2022.09.05
인빅투스(Invictus)  (0) 2022.06.28
하나님 아버지  (0) 2022.04.0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