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배우 양자경, 동양인 최초 아카데미 여우주연상
영화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로 수상
< 조선일보, 박돈규 기자, 2023.03.13 >
2023년 3월 12일 미국 로스엔젤레스에서 열린 제95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영화 '에브리싱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에 출연한 배우 양자경이 아시아 배우 최초로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배우 양쯔충(양자경·60)이 영화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로 제95회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아시아 배우로는 처음으로 아카데미 여우주연상 후보에 올랐고 마침내 최초의 수상자가 됐다.
양쯔충은 12일(현지시각) 미국 로스앤젤레스 돌비극장에서 열린 제95회 아카데미상 시상식에서 강력한 경쟁자로 꼽힌 영화 ‘타르’의 케이트 블란쳇을 누르고 금빛 오스카 트로피를 집으로 가져갔다. 할리우드 유리천장이 또 하나 깨진 셈이다. 인종 다양성을 강화하는 최근 흐름으로 보면 케이트 블란쳇보다는 양자경에 유리하다는 관측이 다소 우세했다.
양쯔충은 1980~90년대 홍콩 영화 ‘예스 마담’ 시리즈 등의 액션 배우 양자경으로 우리에게 더 익숙하다. 최근 미국 4대 조합상과 골든글로브 여우주연상을 휩쓸며 아카데미의 유력한 수상 후보로 꼽혔다. 양쯔충은 1983년 스무 살에 미스 말레이시아로 선발됐고 1997년 ‘007 네버 다이’에 본드 걸로 출연한 이후 할리우드에서 활동해 왔다.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에는 이 여배우의 평생에 걸친 긴 리허설과 필모그래피가 담겨 있다는 평이다.
아카데미는 인생 스토리가 있는 후보를 좋아한다. 베트남 보트피플 출신인 미국 배우 키 호이 콴(51)도 이날 같은 영화로 남우조연상을 받았다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는 미국에 이민 와 세탁소를 운영하던 에블린(양쯔충)이 세무조사에 시달리던 어느 날 남편(키 호이 콴)의 이혼 요구와 삐딱하게 구는 딸로 인해 대혼란에 빠지는 이야기다. 에블린은 멀티버스 안에서 수천, 수만의 자신이 세상을 살아가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그 모든 능력을 빌려와 위기의 세상과 가족을 구해야 한다.
양쯔충은 이날 수상 소감에서 “어린아이들에게는 이 트로피가 희망의 불꽃이 되기를 바란다. 꿈은 실현된다”며 “여성분들에게는 ‘전성기가 지났다’는 말은 절대 믿지 마라고 말하고 싶다”고 했다.
2. 양자경 ( 양쯔충, 楊紫瓊 )
본명 楊紫瓊 Yeoh Choo Kheng
출생 1962년 8월 6일(60세) 말레이시아 말라야 연방 페락주 이포
직업 배우
활동 기간 1983년-현재
종교 불교
배우자 딕슨 푼 (1988년-1992년; 이혼)
동거자 장 토드 (2004년-현재)
생애
양자경(중국어 정체자: 楊紫瓊, 간체자: 杨紫琼, 병음: Yáng Zǐqióng 양 쯔충, 1962년 8월 6일 ~ )은 말레이시아의 배우로, 말레이시아 화교이다. 국제적으로는 미셸 여(영어: Michelle Yeoh)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며, 현재의 정식 이름은 Michelle Yeoh Choo-Kheng이다.
2022년 영화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를 통해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수상하면서 말레이시아인 최초 아카데미상 수상자이자 아시아인 최초 여우주연상 수상자, 할리 베리에 이어 두 번째 유색인종 여우주연상 수상자가 되었다.
말레이시아 이포의 화교 집안에서 태어났으며, 출생시 성명은 Yeoh Choo-Kheng이다. 어릴 때부터 무용을 했으며, 변호사인 아버지를 따라 영국으로 건너가 왕립 무용 학교에서 발레를 전공했다. 1983년 미스 말레이시아에 뽑혔고, 그 해 영국에서 열린 미스 월드 대회에 말레이시아 대표로 출전했다. 또한 이 무렵 성룡과 함께 광고를 찍었고, 이후 홍콩을 기반으로 활동하며 여러 영화에 출연하여 이름을 알리기 시작했으며, 미국 할리우드에도 진출하여 더욱 유명해졌다.
1997년 제임스 본드 영화 《007 네버 다이》에서 동양인으로서 두 번째 본드 걸 역을 맡았다.
작품 목록 ( 출연작 )
예스 마담 (1985)
예스 마담 2 (1986)
예스 마담 3 (1987)
폴리스 스토리 3: 초급경찰 (1992)
동방삼협 (1993)
신 유성호접검 (1993)
송가황조 (1997) - 쑹아이링 역
007 네버 다이 (1997) - 웨이 링 역
스턴트 (1997) - 본인 역 (다큐멘터리)
성월동화 (1999) 특별출연
와호장룡 (2000) - 수련 역
게이샤의 추억 (2005) - 마에하 역
더 레이트 레이트 쇼 위드 크레이그 퍼거슨 (2005, CBS)
황시 (2008)
바빌론 A.D. (2008)
미이라 3: 황제의 무덤 (2008)
검우강호 (2010)
쿵푸 팬더 2 (2011) - 점쟁이 염소 역 (목소리)
더 레이디 (2011)
메카닉: 리크루트 (2016) - 메이 역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 2 (2017) - 알레타 오고드 역 (카메오)
크레이지 리치 아시안 (2018)
엽문 외전 (2018)
라스트 크리스마스 (2019) - 산타 역
샹치 앤 더 레전드 오브 더 텐 링스 (2021)
건파우더 밀크셰이크 (2021)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2022)
미니언즈 2 (2022)
블레이드 퍼피 워리어 (2022)
선과 악의 학교 (2022)
아바타: 물의 길 (2022) - 카리나 모그 박사 역
더 타이거즈 어프렌티스 (2023)
보스 레벨
아바타 3
스타 트렉: 디스커버리- 필리파 조지우(Philippa Georgiou)
3. 그녀의 2023 오스카 수상 소감
" Thank you, Thank you.
For all the little boys and girls who look like me watching tonight, this is a beacon of hope and possibilities.
This is proof that dreams dream big and dreams do come true,
And ladies don't let anybody tell you you are ever past your Prime.
Never give up.
I wouldn't be here standing tonight without the Daniels, without a24, without my amazing cast and crew, without everyone who was involved with 'Everything Everywhere All At Once'.
But, oh, I have to dedicate this to my mom, all the moms in the world, because they are the really the superheroes, and without them none of us will be here tonight.
Oh, she is 84, and I am taking this home to her.
She is watching right now in Malaysia KL with my family and friends.
I love you guys, I am bringing this home to you, and also to my exteded family in Hong Kong where I started my career. Thank you for your shoulders giving me a leg up so that I can be here today and to my God children, to my sisters, all of them, to my brothers, to Oh God, to my family.
Thank you, Thank you.
Thank you to the Academy.
This is history in the making, thank you. "
"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오늘밤 나와 같이 있는 모든 소년 소녀들에게 이것은 희망과 가능성의 불꽃이 되기를 바랍니다.
이것은 꿈이 크고 꿈이 이루어진다는 증거입니다.
그리고 여성 여러분들께, 아무도 당신이 당신의 절정기를 지났다고 말하지 못할 것입니다.
절대 포기하지 마십시오.
Daniels, a24, 멋진 출연진과 스태프, 'Everything Everywhere All At Once'에 참여한 모든 사람이 없었다면
오늘 밤 저는 이 자리에 없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오, 저는 이것을 우리 엄마, 세상의 모든 엄마들께 바치겠습니다.
그들이 없었다면 우리 중 누구도 오늘 밤 여기에 없을 것입니다.
저희 어머니는 84세이고 나는 이 트로피를 어머니 집으로 가져갈 것입니다.
그녀는 지금 말레이시아 KL에서 가족 및 친구들과 함께 시청하고 있을 것입니다.
여러분을 사랑합니다. 이 글을 여러분과 제가 경력을 시작한 홍콩에 있는 제 가족에게도 가져가겠습니다.
내가 오늘 여기 있을 수 있도록 다리를 만들어주신 모든 여러분들의 성원에 감사드립니다.
나의 자녀들, 나의 자매들, 그들 모두, 형제들, 나의 가족들도 모두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아카데미에도 감사드립니다.
이것은 만들어지는 역사입니다. 감사합니다. "
4.
양자경 네 번째 전성기는 한국 영화로
< 조선일보, 김태훈 논설위원, 2023.03.14 >
말레이시아 화교 출신인 양자경(楊紫瓊·양쯔충)의 첫 꿈은 발레리나였다. 십대 중반에 영국 왕립 무용학교에 입학할 때까지 삶은 순탄했다.
척추 부상으로 첫 꿈을 접었지만 딛고 일어나 연기로 진로를 바꿨다. 1983년 미인 대회에 출전해 미스 말레이시아가 된 것을 계기로 홍콩으로 옮겨 영화에 뛰어들었다.
훗날을 대비해 무술도 익혔다. 2년 뒤 기회가 왔다. ‘예스 마담’ 주연을 맡아 단숨에 아시아 최고 여성 배우로 발돋움했다. 첫 전성기였다.
▶1987년, 사업가와 결혼하며 은막을 떠났다가 5년 만에 갈라서고 돌아왔다. 인생의 바닥까지 내려간 줄 알았는데 경쟁하던 배우들이 그 사이 사라진 덕에 다시 일어섰다. ‘중경삼림’의 임청하도 ‘천녀유혼’의 왕조현도 1990년대 초 영화계를 떠났다. 다른 배우들도 해마다 10여 편씩 출연하는 다작을 남발한 끝에 대부분 이른 은퇴를 맞았다.
▶그렇다고 안주하지는 않았다. ‘동양의 할리우드’였던 홍콩이 쇠퇴 기미를 보이자 ‘진짜 할리우드’행을 택했다. 007 시리즈 ‘네버 다이’에 본드걸로 출연했다. 이전 본드걸은 악당에게 붙잡혔다가 본드에게 구출되는 수동적 미인들이었다. ‘본드걸 양자경’은 달랐다. 본드와 어깨를 나란히 하며 대역 없이 격투신을 소화했다. “본드걸의 새 영역을 개척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할리우드에 안착했다. 두 번째 전성기였다.
▶양자경이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로 올해 아카데미 주연상을 받았다. 앞서 윤여정이 조연상을 받았지만 아시아 출신 주연상은 남녀 통틀어 처음이다. 허리 부상, 결혼 실패, 홍콩 영화의 몰락 등으로 쓰러질 때마다 오뚝이처럼 일어나 도전을 거듭한 끝에 오른 고지다. 영화계는 “환갑에 세 번째 전성기를 맞았다”고 했지만 아카데미 단상에 선 그녀는 “황금기가 지났다는 말을 믿지 않는다”고 했다.
▶양자경은 쿵후 스타로 알려졌지만 호쾌한 발차기는 태권도에서 배웠다. 한국 배우들과도 가깝게 지낸다. 지난 2월 골든글로브 여우 주연상을 받았을 땐 “나처럼 생겼고 나보다 먼저 이 자리에 선 분께 감사한다”는 소감과 함께 ‘미나리’로 같은 시상대에 먼저 섰던 윤여정 사진을 자기 SNS올리기도 했다. ‘미나리’와 ‘에브리씽’에서 두 사람이 맡은 배역도 비슷해서 이민자 가정을 지키는 든든한 울타리 여성이다. 적지 않은 나이에 도전을 거듭해 최고 권위 영화상을 받은 인생 역정도 닮았다.
양자경의 다음 목표 중 하나가 한국의 봉준호 감독 작품 출연이라고 한다. 그녀의 네 번째 전성기는 한국 작품과 함께 맞았으면 한다.
5.
양자경 “나에 대한 관심, 여성 문제로 돌려달라”
아카데미 수상 직후 NYT 기고
< 조선일보, 뉴욕=정시행 특파원, 2023.03.15 >
동양인 최초로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받은 말레이시아 배우 양자경(楊紫瓊·양쯔충·60)이 “나에 대한 전 세계적 관심을, 성차별을 겪는 모든 여성과 약자에 대한 관심으로 돌려달라”고 했다. 아카데미상 수상 다음 날인 13일(현지 시각) 미국 뉴욕타임스 기고를 통해서다.
그는 ‘8년 전 내 인생을 바꾼 비극들은 아직도 일어나고 있다’는 기고문에서 8000여 명이 사망한 2015년 네팔 대지진 당시 현장에 있었던 경험을 언급했다. 양자경은 급히 비행기를 타고 안전한 집으로 돌아왔지만 폐허에 남겨진 현지인들을 보며 가책을 느꼈고, 3주 뒤 구호 작업을 돕기 위해 네팔에 돌아갔다고 한다. 1년 뒤엔 유엔개발계획(UNDP) 친선대사 자격으로 다시 네팔을 방문했다.
양자경은 이어 지난달 발생한 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을 거론하며 “대규모 재해는 원래부터 가진 게 별로 없는 사람들에게 더 큰 충격을 준다”며 특히 여성 등 기존에 차별받던 집단은 대형 재난의 ‘약한 고리’가 된다고 했다. 그는 “여자아이들은 재난 후 학교에 가장 늦게 돌아가고, 여성은 식수부터 의약품, 직업, 대출 지원도 가장 늦게 받는다”며 “불안한 주거와 치안 속에서 여성에 대한 성폭력도 급증한다”고 했다.
그는 근본적 해결책으로 “지역사회와 국내·국제 정치 등 각 레벨에서 여성의 진출이 활성화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사회 구조와 정책을 설계하는 과정부터 여성이 참여해야 성적 불평등을 해소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또 정보통신(IT) 기술이 눈부시게 발전하고 있지만 개도국 등에선 여성이 디지털 격차로 뒤처지고 있다면서, 여성을 위한 디지털 교육과 과학·공학 교육(STEM)에 투자해 안정된 소득 창출 기반을 마련해주자고 제안했다.
양자경은 “난 환갑에 첫 오스카상을 받았지만, 내 경험은 그간 위기의 최전선에서 만난 여성 영웅들의 경험에 비할 수 없다”면서 “묵묵히 지역사회를 재건하고, 아이들과 노인들을 돌보며, 매일 밥상을 차리면서도 주목받지 못하는 여성들에게 스포트라이트가 돌아갔으면 한다”고 했다.
(원문)
Michelle Yeoh: The Crisis That Changed My Life 8 Years Ago Keeps Happening
March 13, 2023
By Michelle Yeoh (Ms. Yeoh is an actor and a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 goodwill ambassador.)
Over the past few weeks, many people around the world joined me in celebrating my career firsts — from winning my first Golden Globe, Screen Actors Guild Award and Independent Spirit Award to earning my first Oscar (for actress in a leading role). While I am grateful for this unforgettable moment in my professional life, I want to redirect that global spotlight to an issue that is very personal to me and warrants the world’s attention.
My life changed eight years ago when one moment shook my outlook on the world.
It was April 25, 2015, and I was in Nepal with my partner, Jean Todt, visiting local organizations. Suddenly, I felt the earth begin to tremble violently. Outside the doors of the low-rise building I was in, a deadly earthquake ravaged the country. I’ve never felt the type of fear and panic I felt that day, when the ground beneath me shook so powerfully, I couldn’t stand on my feet. I had to crawl to try to make it to the door to escape. When we emerged, we had to stay outside for hours, unsure which buildings were strong enough or safe enough to return to.
I was fortunate to make it through that day unscathed, but not untouched. The experience was terrifying. Its effects linger with me still. Our hotel was damaged during the earthquake and was no longer safe to enter, so we made our way straight to the airport, where we spent two nights before being evacuated by plane. As we got on the road, I saw the ruins and destruction all around me. I couldn’t shake the thought of how unfair it was that I had a home to go to, unlike the thousands of families whose entire lives were suddenly reduced to rubble.
Disasters of such magnitude cause irreparable damage to the lives of those who already have so little. I witnessed this when I returned to Nepal to help with relief efforts three weeks after the earthquake and then again a year later, when I returned as a goodwill ambassador for the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
I thought again of Nepal when I watched the coverage of the devastating earthquake that hit Turkey and Syria last month. Even before the earthquake struck, the socioeconomic conditions in Syria were dire, with approximately 90 percent of the population living in poverty and millions in need of humanitarian assistance. Many are now homeless and lack the means to rebuild their lives or keep their families safe.
Crises aren’t just moments of catastrophe: They expose deep existing inequalities. Those living in poverty, especially women and girls, bear the brunt. In the immediate aftermath of a disaster, lack of sanitation, health facilities and safety disproportionately affect women. In my time as a goodwill ambassador, I have seen up close how women and girls are often the last to go back to school and the last to get basic services like clean water, vaccines, identity cards and counseling. They are typically the last to get jobs and loans.
In Syria the United Nations anticipates some 40,000 women will give birth in the coming months without access to sanitary conditions. When women have to sleep out in the open — often the case when buildings have collapsed or are unsafe — or in group shelters without adequate privacy or protection, they are at increased risk of sexual violence and assault, which skyrocket in the aftermath of a disaster.
To fully recover from a disaster and be prepared for the next one, the specific needs of women and girls must be factored into the humanitarian response.
Women must also play leadership roles in the recovery process. But women are woefully underrepresented in the decision making that affects their prospects of survival in times of crisis. This gap has a dangerous effect: Studies have shown that women are hit hardest in disasters. Women and girls are often at a disadvantage when it comes to rescue efforts, and women are more likely than men to suffer from hunger.
We know women sustain their communities. Their voices, leadership and full participation are key to an inclusive, successful and sustainable recovery. This means considering women’s needs, priorities and safety when rebuilding neighborhoods and constructing schools and marketplaces. It means ensuring women have equal access to information, job opportunities and skills training, as well as loans and insurance mechanisms, which are all crucial to regain financial stability.
We know having more women in positions of power and as decision makers at community, national and institutional levels leads to more inclusive policies, laws and practices that protect and contribute to gender equality at all levels. It means striving for zero tolerance for gender-based violence at home, at work, online or anywhere else. And it also means investing in women’s education to ensure their voices are represented at the highest levels of government and society.
We live in a world plagued by recurrent pandemic, war and disaster and are struggling with climate change. It can feel insurmountable. But we also live during a time of incredible technological advancement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our most powerful allies in battling these crises. Technology keeps essential social services running, improves crisis response, strengthens communities and boosts economic recovery.
And yet the digital world is also a place of inequality. Globally, 2.7 billion people are excluded from digital connectivity, more of them women. As a result, according to the World Bank, women face barriers in getting access to information and resources in all spheres of their lives, including how to adequately prepare for, respond to and cope with a disaster.
Reducing the digital divide is critical in changing deeply ingrained gender social norms and ensuring that women’s voices and leadership are embedded at the highest levels before, during and after a disaster. Furthermore, we must make measurable investments in women’s education that promote digital literacy and STEM fields.
This year we are halfway toward the 2030 target date to achieve what the United Nations call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 blueprint for a shared global vision of a world without poverty or inequality. What I have learned through my work with U.N.D.P. is that realizing these global goals will be possible only if we achieve true gender equality, everywhere, and in all aspects of life — especially in times of crisis — and in anticipation of the next disaster.
I’m 60 years old, and I just won my first Oscar. I know something about perseverance, and I am all too aware of what society expects of women. I’m also well aware that my experience can’t compare at all with that of the women heroes I met who are on the front lines of crises.
But if I can do one thing with this moment of my professional joy, it would be to point the spotlight on those who all too often go unacknowledged, the women who are rebuilding their communities, taking care of children and older people and putting food on the table. Let’s make sure they are not missing from the room when decisions are being made that affect them the most.
Michelle Yeoh is an actor and a 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 goodwill ambassador.
6.
여배우의 전성기
< 경향신문, 최민영 논설위원, 2023.03.14 >
사계절의 순환적 시간감각을 가졌던 농경사회와 달리 현대인의 시간감각은 선형적이다. 과거와 현재, 미래를 직선 위에 놓는다. 성공으로 가는 과정도 우상향 직선일 것이라고 기대한다. 그래서 예상궤도를 벗어나는 작은 실패에도 쉽게 초조해하고, 궤도에서 멀어지면 회복을 비관한다.
공연예술가 요안 부르주아는 ‘성공은 선형이 아니다(Success isn’t linear)’ 퍼포먼스에서 이 같은 고정관념을 부순다. 성공의 계단을 오르면서 그는 수없이 트램펄린 위로 떨어진다. 기껏 다시 몸을 일으켜도 더 낮은 칸에 머물고, 더 높은 칸에 오르고도 정상을 눈앞에 두고 추락한다. 그리고 재도전을 통해 꼭대기에 올라선다. ‘전성기는 지났다’는 중력 같은 속삭임을 그는 물리친다.
영화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로 2023년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거머쥔 말레이시아 출신 배우 양쯔충(60·양자경·미셸 여)의 여정은 이와 닮았다. 그는 넘어졌을 때 넘어진 채로 남아 있기를 거부했다. 영국 왕립 발레학교에서 척추 부상으로 접은 발레리나의 꿈을 훗날 유연한 무술 연기의 발판으로 삼았다. 1985년 ‘예스 마담’ 전성기 이후 결혼과 이혼으로 빚어진 5년 공백은 할리우드로 건너가 <007 네버다이> <와호장룡> 등에 출연해 넘치도록 메웠다. 이번 작품에 출연하기 전까지 그는 ‘환갑 여배우는 나이가 많다’며 은퇴를 권유받았다고 한다. 그는 오스카 수상 소감에서 “꿈을 크게 꿔라. 여성 여러분, 전성기가 지났다는 말을 절대 믿지 말라”고 말했다.
여배우의 전성기는 성적 대상화되는 젊음과 동의어가 아니다. 그동안 쌓아온 경륜을 담아낼 수 있는 배역이 충분치 않을 뿐이다. 올해 88세인 배우 주디 덴치는 60세에 <007 골든아이>에 ‘M’ 역을 맡으며 세계적 명성을 얻었다. 1970~1980년대 ‘호러퀸’으로 명성을 떨쳤던 제이미 리 커티스도 그간의 부진을 딛고 64세 나이로 이번 아카데미 여우조연상을 수상했다. 여성 서사를 다루는 작품이 늘면서 여배우들이 기존의 전형적인 배역을 넘어 저력을 발휘할 기회가 늘고 있다. 전성기는 흘러가는 게 아니라, 되찾는 것이다. 이들이 설 수 있는 자리만 있으면 된다.
'살아가는 이야기 > 영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싸구려 재방송이 아닙니다” … 스트리밍 시장 (0) | 2023.02.23 |
---|---|
‘무조건 反日’은 NO… 항일 영화 줄줄이 흥행 부진 (0) | 2023.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