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랑제비꽃
(북한산 능선길에서 만난 노랑제비곷)
요약 쌍떡잎식물 측막태좌목 제비꽃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Viola orientalis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제비꽃목
분포지역 한국(전지역)·일본·중국·헤이룽강
서식장소/자생지 산의 풀밭
크기 높이 10∼20cm
산의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 10∼20cm이다. 땅속줄기는 곧게 서고 빽빽이 난다. 잎을 제외하고는 털이 거의 없거나 잔 털이 약간 난다. 뿌리에 달린 잎은 2∼3장으로 심장 모양이고 길이와 나비가 각각 2.5∼4cm이며 가장자리에 물결 모양의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잎보다 3∼5배 길고 붉은빛을 띤 갈색이다. 줄기에 달린 잎은 잎자루가 없고 마주나며, 앞면은 윤이 난다. 턱잎은 넓은 달걀 모양이고 길이 2∼3mm로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은 4∼6월에 노란색으로 핀다. 꽃대는 길이 2∼4cm이며 가운데에 포가 있다. 꽃받침은 바소꼴로 길이 6∼8mm이고, 부속체는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꽃잎은 5장이고 길며 꿀주머니는 길이 1mm 정도이다. 열매는 삭과로 달걀 모양 타원형이고 8∼9월에 익으며 털이 없다. 어린 싹은 식용하고 관상용으로 심는다. 한국(전지역)·일본·중국·헤이룽강에 분포한다.



노랑제비꽃...
(꽃말 : 수줍은 사랑, 나를 생각해주세요)
얼마나 수줍었으면 산모퉁이 돌틈사이로 빼끔 고갤 내밀었을까,
얼마나 웃고 싶었으면 인고의 세월을 지나자마자 방긋 미소를 짓고 있을까,
얼마나 그리워했으면 양지바른 곳에 옹기종기 모여앉아 사랑한다 속삭임으로 하는 말,
"나를 생각해 주세요"
통상 제비꽃의 어원은 겨울나라에 갔던 제비가 돌아오는 무렵에 꽃이 핀다고 제비꽃이라 부른다는 설과, 꽃의 모양과 빛깔이 제비를 닮아서 이름이 유래했다는 설이 있다. 오랑캐꽃이라는 이름의 유래에는 꽃이 필 무렵 오랑캐가 자주 쳐들어와서 붙었다는 설과 꽃의 생김이 오랑캐의 머리채를 닮아서 그렇게 부른다는 설이 있다. 앉은뱅이꽃은 키가 작아 앉아있는 것 같다고 해서, 반지꽃은 꽃으로 반지를 만든다고해서, 장수꽃과 씨름꽃은 꽃 모양이 장수들이 씨름하는 것 같아서, 병아리꽃은 병아리처럼 귀여워서 각기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둘레길 걷기 > 꽃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딸나무 (0) | 2022.05.08 |
---|---|
이팝나무 _ 가로수 변천사 (0) | 2022.05.02 |
모란 (0) | 2022.04.24 |
청계천 산책길에서 발견한 갓꽃 (0) | 2022.04.22 |
조팝나무 (0) | 2022.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