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가는 과거와 어떻게 대화?
< 경향신문, 장지연 대전대 H-LAC대학 역사문화학전공 교수, 2023.01.12 >
10년에 걸쳐 박사논문을 쓰고 뵌 친척 어른이 이런 충격적인 말씀을 하셨다. 당신은 역사학은 학문으로 취급하지 않는다, 다 나온 사료 가지고 똑같은 소리 하는 게 무슨 학문이냐는 말씀이었다. 그러면서 역사학은 사회적 효용이 없다는 말씀까지 하셨다. ‘효용’ 같은 단어를 좋아하는 전공을 하신 분이었다. E H 카의 “역사는 현재와 과거의 끊임없는 대화” 같은 유명한 말만 곱씹어봤어도 역사학자가 똑같은 소리를 한다는 얘기는 안 하실 텐데 싶었지만, 어떻게 보면 역사학자가 하는 일을 잘 알지 못해서 하는 얘기일 수도 있겠다 싶었다.
역사학자가 과거와 끊임없는 대화를 한다는 건, 현재의 경험을 통해 과거 사료를 발견하고 해석하며 의미를 부여한다는 뜻이다. 이러다 보면 똑같은 사료가 역사가의 경험에 따라 다르게 읽히기도 한다. 경복궁 근정전의 이름 지은 내력을 풀이한 정도전의 글이 나에게 그러했다. ‘천하의 일이 부지런하면 다스려지고, 게으르면 망하는 것은 필연적입니다’로 시작하는 이 글은 임금이 정치에 부지런해야 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2008년, 처음 이 사료를 가지고 논문을 쓰고 난 다음에는 임금이 부지런한데도 정치가 나빠지는 경우에 대한 설명에 눈이 갔다. 정도전은 임금이 아래 사람 일까지 한답시고 부지런을 떨어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그것은 임금의 일이 아닐뿐더러 까탈만 부리는 꼴이 되기 때문이다. 이 논문을 쓰던 시절의 대통령은 고속도로 감시카메라를 보면서 나무 두 그루를 뽑으라는 지시까지 하던 사람이었다. 2017년, 책을 쓰면서 다시 사료를 봤다. 이번엔 전체 글에서 임금이 게으르면 안 되고 모름지기 부지런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이 눈에 띄었다. 이건 정도전이 임금이 쓸데없이 부지런할까 걱정하기보다는 게으를까 봐 훨씬 더 걱정했다는 의미일 것이다. 아, 그래. 정도전의 시대라면 지도자가 쓸데없이 부지런할 걱정보다는 부지런하지 않을 경우에 대한 걱정이 더 컸겠다 싶었다. 일단 부지런하긴 해야 제대로 부지런한지 가늠이라도 해볼 것이 아닌가. 시대를 앞서 주 4일 근무를 실천하던 대통령을 가져보니 그의 심정을 알 것 같았다.
그러다 작년 말, 강연 자료를 만들려고 사료를 옮기다 전혀 새로운 부분에 눈이 갔다. 임금이 편안한 걸 좋아하면 교만하고 게을러지기 쉽고, 그러면 아첨꾼이 “이미 높은 자리에 있는데 어찌 수고를 해야 합니까?”라며 임금을 꼬드길 것이라는 부분이었다. 그렇지. 권력자 주변에는 그가 좋아하는 것을 더 좋아하게 만드는 사람이 모이기 마련이다. 교만하고 게으른 지도자 곁에는 당연히 이런 인간이 꼬여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새삼 들었다.
303자밖에 안 되는 이 짧은 사료가 어쩜 이렇게 볼 때마다 새롭게 읽힐까. 이런 것이 역사가의 현재를 통해 과거가 끊임없이 재발견되고 해석되는 과정이다. 그러나 역사가의 대화는 이렇게 새롭게 읽는 게 다가 아니다. 현재를 살아가는 역사가가 일방적으로 과거의 아무 데나 밑줄을 긋는 작업은 아니라는 의미다.
사실 과거는 대화의 주체가 되지 못한다. 그렇기에 역사가는 과거의 진정한 목소리를 최대한 들어보려고 신중하고 겸허하게 사료를 탐색한다. 정도전은 임금의 부지런함을 소재로 다양한 이야기를 했지만, 그 이야기의 진정한 목적은 부지런함이라는 소재를 통해 태조 왕건이라는 고려 475년의 상징을 해체하고 고대의 성인 군주를 새 시대의 모범으로 제시하는 데 있었다. 여기에 밑줄을 긋기까지 고려 초부터 사료를 훑고 인용문의 출전을 찾으며 글의 맥락을 더듬는, 고단하고 지난한 작업을 수행했다. 이런 작업이 바로 역사학이 학문으로서의 엄정함을 유지하는 지점이다. 사료 아무 데나 밑줄 긋는 것은 역사학이 아니다. 친척 어른이 역사학의 이런 역동성과 엄정함을 언젠가 이해하시면 좋으련만.
** 경복궁, 근정전이라 이름을 지은 까닭 (신병주 건국대 사학과 교수)
조선이 건국되고 3년이 지난 1395년(태조 4) 9월 29일. 한양의 북악산 아래 넓은 터에는 390여 칸 규모의 새 궁궐이 들어섰다. 이 궁궐이 바로 200년 가까이 조선 왕조에서 법궁(法宮)의 지위를 유지한 경복궁이다. 새 궁궐의 영건을 축하하며 잔치를 베푸는 자리에서, 술이 한껏 거나해진 태조는 참모 정도전에게 궁궐과 각 전각의 이름을 짓도록 명하였다. 과연 정도전은 무엇에 근거해서 궁궐의 이름을 지었을까? 왕조 국가의 상징적 공간인 궁궐의 이름에는 조선시대의 사상과 이념이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 그 이름의 의미를 찾아 경복궁으로 가보자.
조선 개국의 일등공신이었던 정도전은 누구보다 경복궁의 창건에 앞장섰던 인물이다. 도읍지의 선정, 궁궐의 배치 등 모든 면에 그의 손길이 닿지 않은 부분이 없을 정도였다. 정도전은 그중에서도 특히 ‘궁궐의 명칭’을 잘 지어야 함을 강조했는데, 이는 그의 문집인 『삼봉집』에 잘 나타나 있다.
’궁궐이란 임금이 국정을 결정하는 곳이요 사방이 우러러 보는 곳이며 신하와 백성들이 모두 이르는 곳입니다.
그러므로 그 제도를 장엄하게 해서 존귀함과 위엄을 보이며 그 명칭을 아름답게 지어 보여 감동하게 해야 합니다.’
-’삼봉집’ 권4 <경복궁>
이러한 인식 속에서 정도전은 『시경(詩經)』「대아(大雅)」편의 ‘이미 술로 취하고 이미 덕으로 배부르니, 군자께서는 만년토록 큰 복을 누릴 것입니다.(旣醉以酒 旣飽以德 君子萬年 介爾景福)’라는 구절을 인용하여 궁궐의 이름을 ‘경복궁(景福宮)’으로 정했다. 여기에는 개창된 나라가 대대손손 큰 복을 누려 번영하기를 바라는 조선 왕조의 소망을 잘 반영하고 있다.
‘경복궁’이라는 이름과 함께 정도전은 정전(正殿)인 근정전ㆍ편전(便殿)인 사정전ㆍ침전(寢殿)인 강녕전 등의 이름도 잇달아 지었다.
◆ 부지런할 바를 알아 부지런히 정치하라, ‘근정전(勤政殿)’
인왕산과 북악산을 병풍삼아 우뚝 솟아있는 전각. 경복궁에서 제일 웅장한 이 건물은 왕의 즉위식ㆍ법령 반포ㆍ외국 사신 접견 등과 같은 국가의 중대한 의식을 거행한 근정전(勤政殿)이다. ‘근정(勤政)’이란 부지런하게 정치하라는 뜻이다. 예로부터 나라를 통솔하는 자에게는 부지런함이 요구되었다. 이는 『서경(書經)』에 ‘편안히 노는 자로 하여금 나라를 가지지 못하게 하라.’ 하고, 문왕(文王)이 ‘아침부터 날이 기울어질 때까지 밥 먹을 시간을 갖지 못하며, 만백성을 다 즐겁게 하였다.’ 는 데에서도 알 수 있다.
정도전 역시 편안히 쉬기를 오래 하면 교만하고 안일한 마음이 쉽게 생기기 때문에, 임금은 무릇 부지런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런데 여기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정도전이 모든 일에 부지런해야 함을 말한 것이 아니라, ‘부지런할 바’를 알아서 부지런히 정치해야 한다고 말했다는 것이다. 정도전은 왕이 부지런히 해야 할 것으로 ‘아침에는 정사를 듣고, 낮에는 어진 이를 찾아보고, 저녁에는 법령을 닦고, 밤에는 몸을 편안하게 하는 것’을 예로 들었다.
◆ 생각하고 정치하라, ‘사정전(思政殿)’
근정전이 국가의 공식 행사를 치르는 정전(正殿)의 기능을 했다면, 그 뒤편에 있는 사정전(思政殿)은 왕이 신하와 경연(經筵)을 하고 정무를 보는 집무실과 같은 역할을 했다. 여기에서 ‘사정(思政)’이란 생각하고 정치하라는 뜻이다. 『서경(書經)』에 ‘생각하면 슬기롭고, 슬기로우면 성인이 된다.’고 했으니, 생각이란 것은 사람에게 있어서 그 쓰임이 지극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정도전은 백성들 중에는 슬기롭고 어리석고 어질고 불초한 사람이 섞여 있고, 모든 일에는 옳고 그르고 이롭고 해됨이 섞여 있어서, 임금이 된 자가 깊이 생각하고 세밀하게 살펴야지만 인재를 등용하고 일을 마땅히 처리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정도전은 이 건물에서 왕이 매일 아침에 정사를 보고 조칙(詔勅)을 내려 지휘할 때, 한 번 더 생각하기를 바라며 사정전이라 이름 하기를 청하였다.
◆ 평안하고 건강 하라, ‘강녕전(康寧殿)’
편전(便殿)인 사정전의 뒤쪽으로는, 왕이 식사를 하고 잠을 자는 등 일상생활을 하던 사적인 공간이 자리하고 있다. 왕의 침전(寢殿)인 이곳은 ‘강녕전(康寧殿)’으로, 평안하고 건강 하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서경(書經)』「홍범구주(洪範九疇)」에는 사람이 살면서 누릴 수 있는 다섯 가지 복[五福]이 나열되어 있는데, 이 중에서 세 번째가 바로 ‘강녕’이다. 壽(수: 장수)ㆍ富(부: 부귀)ㆍ康寧(강녕: 평안)ㆍ攸好德(유호덕: 덕을 좋아함)ㆍ考終命(고종명: 천명(天命)을 다함)의 다섯 가지 덕은 그 중간인 ‘강녕’을 들어서 다 차지할 수 있다고 여겨졌다.
정도전은 한가하고 편안하게 혼자 거처할 때에도 마음을 바르게 해야 왕의 자리가 세워지며 오복(五福)을 누릴 수 있다고 말했다. 이때 위(衛)나라 무공(武公)을 예로 들었는데, 무공은 다른 사람이 보지 않는 곳에서도 부끄러움이 없도록 행동하여 90세가 넘도록 오복을 누린 인물이었다. 한가하고 아무도 없는 왕의 사적인 공간에서도 스스로 경계하며 마음을 바로 할 것을 바라는 마음이 배어있는 곳이다.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궁궐 전각 하나 하나의 이름은 그냥 쉽게 지어진 것이 아니다. 성리학을 이념으로 했던 조선시대에는 유교 경전을 기본으로 하여, 조선의 꿈과 이상을 고스란히 건물의 이름에 심어 두었던 것이다. 각 궁궐과 전각의 이름을 되새겨 보며 고궁을 산책해 보면 어떨까?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 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는 김춘수의 시처럼, 궁궐이 새로운 의미로 당신에게 다가올 것이다.
'살아가는 이야기 > 일반 칼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 세대가 제일 불행해” (0) | 2023.01.13 |
---|---|
청소부 시인, 그리고 고은이라는 시인 (0) | 2023.01.13 |
대학에 개성을 묻다 (0) | 2023.01.10 |
새해가 ‘새’ 해라는 상징의 힘 (1) | 2023.01.10 |
부끄러움이 우리를 구원한다 , 故조세희 (1) | 2023.01.07 |